교통사고는 대부분 운전자의 조급한 마음과 부주의에서 비롯되므로 운전자들이
“보행자를 우선배려하겠다”는 마음으로 양보운전을 할 경우 운전자의 시야가 넓어져
교통사고위험이 대폭 감소.
따라서 운전자들에게 자신이 과속, 난폭운전을 할 경우 “내 가족들도 한 순간에
교통사고를 당할 수 있다”는 위기의식을 전달하여 양보운전 실천을 유도
※ 승합차 7만원, 승용차 6만원, 이륜차 4만원, 자전거는 3만원이 각각 부과
※ 일반도로에서 보행자 보호의무 위반시 승합차 5만원, 승용차 4만원, 이륜차 3만원, 자전거는 2만원을부과
※ 어린이보호구역내 일반도로에서 보행자 보호의무 위반시 범칙금은 승합차는 9만원, 승용차는 8만원, 이륜차는 6만원, 자전거는 4만원을 부과
파일 다운로드 |
우리나라의 경우 교통사고의 80%이상이 지방도로에서 발생하고 있고 전체 교통사고의 50%이상이 차도폭 9m 미만의 도로에서 발생하는 등 생활도로에서의 교통안전이 중요
파일 다운로드 |
운전이라 함은 심신이 정상적인 상태에서 자동차를 본래의 사용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을 말하고 있으며 정상적이지 못한 상태에서의 운전은 교통사고로 이어져 인명과 재산상의 손실을 입을 수 있음
안전보행 체크리스트 항목
항목 | A등급(20점) | B등급(16점) | D등급(8점) | F등급(4점) |
---|---|---|---|---|
무단횡단 | 전혀 하지 않는다 |
하지 않는 편이다 |
가끔 하는 편이다 |
항상 하는 편이다 |
횡단보도 우측통행 |
항상 우측통행한다 |
우측통행 하는편이다 |
우측통행 하지않는 편이다 |
우측통행 안전성을 전혀 모른다 |
보행자 녹색불에 운전자와 맞추기 (신호등 있는 횡단보도) |
녹색불이 들어와도에 항상 운전자와 눈맞춘다 |
운전자와 눈 맞추는 편이다 |
거의 운전자와 눈맞추기를 안한다 |
전혀 눈 맞추기를 안한다 |
운전자에게 손들어 의사표시하기 (신호등 없는 횡단보도) |
항상 손으로 수신호 한 후 건넌다 |
손으로 수신호 하는 편이다 |
거의 수신호 하지않는다 |
전혀 수신호 하지않는다 |
차를 보면서 천천히건너기 | 항상 차를 보면서 천천히 걷는다 |
차를 보면서 천천히 걷는 편이다 |
거의 하지 않는다 |
전혀 하지 않는다 |
등급 | 점수 | 운전자의 상태 및 교통사고 위험 정도 |
---|---|---|
A 등급 | 85점 이상 | 교통사고 위험이 전혀 없는 안전한 보행자 |
B 등급 | 71~85점 | 사고 위험이 없는 안전한 보행자 |
C 등급 | 60~70점 | 일반적인 평범한 보행자 |
D 등급 | 45~59점 | 사고위험이 높은 위험한 보행자 |
F 등급 | 45점 이하 | 사고위험이 매우 높은 위험한 보행자 |
운전자의 자가 안전 체크리스트 항목
항목 | A등급(10점) | B등급(8점) | D등급(4점) | F등급(2점) |
---|---|---|---|---|
안전띠착용 생활화 | 단속과 관계없이 매우 잘 매고 있다. |
잘 매는 편이다. |
잘 안 매는 편이다. |
거의 매지 않고 다닌다. |
양보 운전 | 양보를 매우 잘한다. |
잘하는 편이다. |
잘 안하는 편이다. |
거의 양보를 안 한다. |
30km 서행운전 (스쿨죤, 생활도로) |
항상 서행한다. |
서행하는 편이다. |
서행 안하는 편이다. |
전혀 서행 안한다. |
차량의 정지선 준수 | 항상 준수한다. |
준수하는 편이다. |
준수하지 않는다. |
항상 준수하지않는다. |
운전중 휴대폰 | 일체 하지 않는다. |
안하는 편이다. |
가끔 하는 편이다. |
항상 한다. |
음주 운전 | 전혀 하지 않는다. |
안하는 편이다. |
가끔 한다. |
항상 하는 편이다. |
전조등 조기 점등 | 상대방을 위해 항상조기 점등 한다. |
정시 점등 한다. |
늦게 점등하는 편이다. |
항상 늦게 점등한다. |
차선변경 시 방향지시등 켜는지 |
항상 켠다. |
켜는 편이다. |
안 켜는 편이다. |
거의 안 켠다. |
횡단보도 앞 일단정지 또는 서행 여부 |
항상 한다. |
하는 편이다. |
하지 않는 편이다. |
항상 하지 않는다. |
신호위반 중앙선 침범 | 결코 하지 않는다. |
안하는 편이다. |
가끔 한다. |
항상 한다. |
등급 | 점수 | 운전자의 상태 및 교통사고 위험 정도 | |
---|---|---|---|
A 등급 | A+ | 95~100점 | 교통사고 위험이 거의 없는 완벽에 가까운 최상류층 운전자 |
A- | 90~94점 | 상대방을 배려하는 인격운전을 하는 상류층 운전자 | |
B 등급 | B+ | 85~89점 | 양보·방어운전을 잘하는 안전운전형 운전자 |
B- | 80~84점 | 비교적 안전운전을 하려고 노력하는 안전운전형 운전자 | |
C 등급 | C+ | 75~79점 | 교통사고의 위험성을 깨닫고 있는 노력형 평범 운전자 |
C- | 70~74점 | 무사 안일한 성격을 지닌 지극히 평범한 운전자 | |
D 등급 | D+ | 65~69점 | 상황에 따라 기분 내키는 대로 운전하는 하류층 운전자 |
D- | 60~64점 | 교통사고 위험이 항상 도사리고 있는 하류층 몰상식 운전자 | |
F 등급 | ㆍ | 59점 이하 | 지금 당장 교통사고를 낼 수 있고, 사고를 당할 수 있는 최하류층 난폭 운전자 |